반응형

세션 3

[구글 애널리틱스 사용법 2] 세션 기반 vs 이벤트 기반 로그 분석툴

이전 글에서 구글 애널리틱스의 UA(기존 버전) 버전과 GA4(최근 버전) 버전 차이점에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도 이어서, 이전 글에서는 언급하지 못했던 UA 버전과 GA4 버전의 차이점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세션 기반 vs 이벤트 기반 세션 기반 모델과 이벤트 기반 모델 차이가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UA는 세션 기반 모델이고, GA4는 이벤트 기반 모델입니다. 세션 기반 모델은 세션 기간 동안 사용자와 웹사이트 간에 페이지 조회, 전자상거래, 이벤트 등의 상호작용을 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모델입니다. (※히트란? 웹 사이트와 사용자 간에 모든 상호작용을 의미합니다.) (※세션이란? 동일한 사용자가 방문하여 발생시킨 '히트'의 집합입니다. 30분 동안 아무런 활동이 없는 경우 ..

[구글 옵티마이즈 사용법 3] 개발자 없이 A/B 테스트 하는법

홈페이지나 랜딩페이지 블로그, 티스토리를 운영하다 보면, 개발자 없이 A/B 테스트를 하고 싶은 경우가 많습니다. 개발자 없이, 마우스 클릭/이동만 으로 대안페이지를 만들고 전환 목표를 세울수 있는 툴, 구글 옵티마이즈를 이용하면 가능 합니다. 이번에는 구글 옵티마이즈를 이용해서 A/B 테스트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전에, 구글 옵티마이즈를 우리의 홈페이지에 설치를 해야 하는데요. 설치 하는 방법은 이 글을 참고해 주세요. 1. 구글 옵티마이즈 환경 만들기 구글 옵티마이즈를 설치까지 하였다면, [환경] 이라는 탭에 [시작하기] 버튼이 보일 것 입니다. 클릭해 주세요. 2. A/B 테스트 만들기 A/B 테스트 이름, A/B 테스트를 진행할 내 사이트의 URL 주소, 테스트 종류를 선택해 주세요. 3. ..

제품 로드맵, 제품 백로그

1. PO R&R(역할과 책임) PO는 비즈니스 요구사항과 고객의 니즈에 따른 상위 레벨의 Epic과 sub-story들을 준비하고, 제품의 목표, 중요도, 긴급도에 따라 Product Backlog의 우선순위를 수립(Prioritize) 합니다. 2. User Story User Story란, S/W 시스템상 하나 이상의 기능에 대한 비공식적이고, 자연스러운 언어 설명이며, 사용자의 유형, 원하는 내용 및 이유를 기술 합니다. 또한 요구사항을 간략하게 설명할 수 있도록 합니다. 요약하면, "누가/무엇을/왜 필요로 하는지?" 가 기술되어 있는것이 User Story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3. Story Point Story Point는, User Story의 복잡도, 리스크, 시간과 관련된 측정 단위 입..

Lean Startup 2021.01.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