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A/B 테스트가 아닌, 변수(대안)가 많은 경우에는 어떻게 테스트를 하여, 전환율을 높일 수 있을까? 구글 옵티마이즈에서 제공하는 다변수 테스트를 통해서 최적의 페이지를 만들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용자 지리 또는 사용자 행동 타기팅 별 다변수 테스트를 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1. 다변수 테스트 환경 만들기
구글 옵티마이즈에 접속해서, [환경] -> [환경 만들기] -> 이름 입력 -> [다변수 테스트] 선택해 주세요.
2. 섹션별 대안 페이지 설정
[대안] -> [섹션] 영역에 섹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섹션은? 우리의 웹페이지에서 HTML의 <section> 태그와 같은 단위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HTML을 잘모르겠다면, 하나의 웹페이지 안에서 '문단' 정도에 해당하는 단위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섹션 별로 여러가지 변이(변수 혹은 대안)을 설정 할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보면, [A 구글 옵티마이즈 환경 만들기 섹션] ➡ [0. 원본], [1. 이미지 올리기]라는 2가지 대안을 설정 하였고, [B A/B 테스트 만들기 섹션] ➡ [0. 원본] / [1. 이미지 위로 올리기] 라는 대안을 설정하였습니다. 대안 페이지 UI/UX 설정은 [수정]을 클릭하여, 마우스로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섹션 페이지 확인 에서 확인해 주세요.
3. 변수들 조합 확인
위에서 설정한 [섹션]의 조합을, [조합] 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A0-B1"에 의미는 "A섹션에 0번 변수(대안)와 B섹션에 1번 변수(대안)가 조합된 웹페이지"를 의미 합니다. 조합된 페이지는 [미리보기]를 클릭해서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4. 섹션 페이지 확인
위에서 설명한 A, B 섹션의 실제 화면 모습을 캡처하였습니다. 아래 그림을 확인해 주세요.
5. 지리/행동 사용자 타겟팅 설정
기기별로, 또는 구글 애널리틱스(구글 애널리틱스는 옵티마이즈 360(유료 버전)에서 가능) 별로도 사용자 타겟팅을 해줄수 있지만, 행동, 지리 별로도 사용자 타겟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지리에서 'Seoul'을 선택하였고, 행동에서는 '첫 도착 이후 경과 시간 60분 초과'로 설정하였습니다. 여기에서, '첫 도착' 이란?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사용자에 쿠키가 처음 만들어지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6. 테스트 예약 시간 설정
다변수 테스트 또한,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설정하여 예약을 걸 수가 있습니다. [시계 모양의 아이콘] -> [시작 시간, 종료 시간] 설정해주세요.
마지막으로, [목표]를 설정해야, 다변수 테스트를 [시작]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주변에 이 정보가 필요한 사람이 있다면, 공유해주세요.
'구글 옵티마이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옵티마이즈 사용법 6] 맞춤설정과 배너 템플릿 설정 (0) | 2021.10.09 |
---|---|
[구글 옵티마이즈 사용법 5] 리디렉션 테스트 (0) | 2021.10.04 |
[구글 옵티마이즈 사용법 3] 개발자 없이 A/B 테스트 하는법 (0) | 2021.09.11 |
[구글 옵티마이즈 사용법 2] 옵티마이즈 설치 방법 (0) | 2021.09.04 |
[구글 옵티마이즈 사용법 1] A/B 테스트 기획하는법 (0) | 2021.08.28 |